모택동의 실천론 : 인식과 실천의 관계 - 지와 행의 관계(1937년 7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6 13:43
본문
Download : 모택동의 실천론 인식과 실천의 관계 - 지와 행의 관계(1937년 7월).hwp
관련분야의 레포트를 쓰고자 하는 분들에게 여러모로 활용이 되리라 생각하며, 레포트 잘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왜냐하면 실천은 보편성이라는 가치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현실성이라는 advantage도 가지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철학노트>>.
(2) 인식의 발전과정과 실천의 의의
1) 인식의 감성적 단계(감각과 인상의 단계, 인식의 제1단계)
• 각 사물의 현상, 각 사물의 일면적인 부분, 각 사물들 사이의 외적 연관만 보는 단계.
• 이 단계에서는 아직 심화된 槪念들을 형성하거나 논리적인 結論(결론)을 이끌어 낼 수 없다.
• 이 단계에서는 사물의 전체성, 본질, 내적 관계에 도달하여 주변세계의 내적 모순을 드러내 준다.
Download : 모택동의 실천론 인식과 실천의 관계 - 지와 행의 관계(1937년 7월).hwp( 19 )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1937년 7월에 작성한 실천과 인식의 관계를 논한 모택동의 실천론에 대한 내용요약 자료입니다.설명
(1) 인식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자의 기본 전제
(2) 인식의 발전과정과 실천의 의의
(3) 변증법적 유물론의 인식론적 특징
(1) 인식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자의 기본 전제
1) 가장 기본적인 실천활동은 생산활동 : “인간의 인식은 주로 物質的 生産活動에 의존하며 이를 통해 자연의 현상과 성질, 법칙성, 그리고 인간과 자연의 관계 등을 점차 이해하게 된다 ” “모든 지식들은 생산활동을 떠나서는 얻을 수 없는 것이다. 관련분야의 레포트를 쓰고자 하는 분들에게 여러모로 활용이 되리라 생각하며, 레포트 잘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 모택동의 실천론 : 인식과 실천의 관계 - 지와 행의 관계(1937년 7월)인문사회레포트 ,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모택동의 실천론 : 인식과 실천의 관계 - 지와 행의 관계(1937년 7월)
다.
3) 이 두 단계의 인식과정은 독립된 단계가 아니고 실천을 토대로…(투비컨티뉴드 )
1937년 7월에 작성한 실천과 인식의 관계를 논한 모택동의 실천론에 대한 내용요약 data(資料)입니다.
2) 인식의 이성적 단계(槪念-판단-추리의 단계, 인식의 제2단계)
• 槪念의 형성 : 실천과정 속에서 감각과 인상들은 일으키는 일이 여러 번 반복되면, 인식과정상에서 인간의 두뇌에 갑작스런 變化(비약)가 일어나 槪念이 형성된다
• 槪念 : 사물의 일면이나 외적 관계를 반영한 것이 아니라 사물의 본질, 사물의 전체성과 내적 관계를 파악한 것이다. 槪念과 감각은 양적 차이뿐만 아니라 질적 차이도 있다
• 이 바탕 위에 판단과 추리라는 방법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논리적 結論(결론)을 이끌어 낸다.
* 인식의 일면성 : 착취계급의 편견이 歷史를 왜곡, 생산규모의 협소가 시야를 제한.
3) 인식의 진리 여부 : “오직 社會的 實踐만이 진리의 기준이 될 수 있다 ”
* Lenin : “실천은 [理論(이론)적] 인식보다 우월하다.”
2) 인식의 단계적인 발전 : 인류사회의 생산활동이 단계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인간의 인식도 단계적으로 발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