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슈머(Prosumer) -수동적 수용자에서 능동적수용자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9 11:49
본문
Download : 프로슈머(Prosumer) -수동적 수용자에서 능동적수용자로-.hwp
[교양]프로슈머
프로슈머(Prosumer) -수동적 수용자에서 능동적수용자로-
생비자(prosumer)로서 기능하는 수용자들은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하에서 어떤 모습으로 정보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것인지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교양]프로슈머 , 프로슈머(Prosumer) -수동적 수용자에서 능동적수용자로-경영경제레포트 ,
,경영경제,레포트
순서
레포트/경영경제
1. 팬덤(fandom)
팬덤(fandom)은 광신자를 뜻하는 `퍼내틱(fanatic)`의 팬(fan)과 영지·나라 등을 뜻하는 접미사 덤(-dom)의 합성어로, 특정한 인물이나 분야를 열성적으로 좋아하는 사람들 또는 그러한 文化(culture) 현상을 일컫는다. 디지털 環境(환경)은 팬들이 더 손쉽게 그들이 원하는 관련 텍스트에 접근해 새롭게 재생산하는 것을 도와주었으며, 온라인(online) 미디어를 통해 자신들의 opinion을 쌍방향적으로 교류하고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보다 즉각적인 커뮤니케이션 기반을 마련해 주었다. 즉 팬덤(fandom)은 어떤 대중적인 특정 인물이나 분야에 지나치게 편향된 사람들을 하나의 큰 틀로 묶어 定義(정이)한 관념이다. 텔레비전의 보급과 함께 대중文化(culture) 가 확산되면서 나타난 현상의 하나로, 팬덤(fandom)이 文化(culture) 적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팬덤(fandom) 文化(culture) 라는 말이 탄생하였다.
%20-%EC%88%98%EB%8F%99%EC%A0%81%20%EC%88%98%EC%9A%A9%EC%9E%90%EC%97%90%EC%84%9C%20%EB%8A%A5%EB%8F%99%EC%A0%81%EC%88%98%EC%9A%A9%EC%9E%90%EB%A1%9C-_hwp_01.gif)
%20-%EC%88%98%EB%8F%99%EC%A0%81%20%EC%88%98%EC%9A%A9%EC%9E%90%EC%97%90%EC%84%9C%20%EB%8A%A5%EB%8F%99%EC%A0%81%EC%88%98%EC%9A%A9%EC%9E%90%EB%A1%9C-_hwp_02.gif)
%20-%EC%88%98%EB%8F%99%EC%A0%81%20%EC%88%98%EC%9A%A9%EC%9E%90%EC%97%90%EC%84%9C%20%EB%8A%A5%EB%8F%99%EC%A0%81%EC%88%98%EC%9A%A9%EC%9E%90%EB%A1%9C-_hwp_03.gif)
%20-%EC%88%98%EB%8F%99%EC%A0%81%20%EC%88%98%EC%9A%A9%EC%9E%90%EC%97%90%EC%84%9C%20%EB%8A%A5%EB%8F%99%EC%A0%81%EC%88%98%EC%9A%A9%EC%9E%90%EB%A1%9C-_hwp_04.gif)
%20-%EC%88%98%EB%8F%99%EC%A0%81%20%EC%88%98%EC%9A%A9%EC%9E%90%EC%97%90%EC%84%9C%20%EB%8A%A5%EB%8F%99%EC%A0%81%EC%88%98%EC%9A%A9%EC%9E%90%EB%A1%9C-_hwp_05.gif)
%20-%EC%88%98%EB%8F%99%EC%A0%81%20%EC%88%98%EC%9A%A9%EC%9E%90%EC%97%90%EC%84%9C%20%EB%8A%A5%EB%8F%99%EC%A0%81%EC%88%98%EC%9A%A9%EC%9E%90%EB%A1%9C-_hwp_06.gif)
Download : 프로슈머(Prosumer) -수동적 수용자에서 능동적수용자로-.hwp( 98 )
다. 다시 말해 그들은 디지털공간 안에…(To be continued )
설명
생비자(prosumer)로서 기능하는 수용자들은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하에서 어떤 모습으로 정보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것인지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 팬덤(fandom)은 뉴미디어보다는 매스 미디어가 더 지배적이던 시절부터 쭉 나타나던 文化(culture) 현상이긴 하지만 생비자라는 측면에서 중요성이 부각된 시기는 누리망 과 같은 온라인(online) 미디어의 발달과 이를 통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으로 팬덤(fandom)이 확산되고 활성화된 이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