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경제 10년 성장은 반도체 · 전자부품산업이 주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0 11:41
본문
Download : 111103105013_.jpg
다. 또 2000년대는 금융insurance과 운송장비(자동차, 조선), 기계 등으로 주력산업이 확대됐다.





Download : 111103105013_.jpg( 68 )
서비스산업 분야는 금융insurance(9.7%), 정보통신서비스(7.4%), 의료복지(5.0%), 도소매(5.0%), 교육서비스(4.9%) 순으로 경제 성장 기여도가 높았다.
최근 한국경제 10년 성장은 반도체 · 전자부품산업이 주도
70년대는 도소매업(종합상사)과 섬유, 80년대에는 건설과 백색가전이 주력이었지만, 90년대는 전기전자(PC, 반도체, 휴대전화 등)와 정보통신서비스 산업이 주도했다. 서비스산업 성장기여율은 70년대(25.4%), 80년대(47.3%), 90년대(53.5%), 2000년대(59.3%)를 거치면서 꾸준히 상승했다.최근 한국경제 10년 성장은 반도체 · 전자부품산업이 주도
대한상공회의소는 2일 ‘산업구조의 변천과 정책課題’ 보고서를 통해 반도체 및 전자부품(12.5%), 일반기계(5.8%), 자동차(5.2%), 영상음향통신(4.8%), 석유화학(3.9%) 등 5개 분야를 2001~2010년 제조업 분야에서 경제성장 기여율이 높은 업종으로 꼽았다.
<표> 최근 10년간 5대 주력업종의 성장기여율
순서
최근 한국경제 10년 성장은 반도체 · 전자부품산업이 주도
레포트 > 기타
설명
최근 한국경제 10년 성장은 반도체 · 전자부품산업이 주도
홍기범기자 kbhong@etnews.com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경제 성장에 가장 크게 기여한 업종은 반도체 및 전자부품산업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는 “우리나라는 지금까지의 성장산업을 발판으로 수출제조업 중심의 성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면서 일자리 창출 등을 위해 지식서비스 분야 성장모델을 접목하는 전략(strategy)을 구사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작년에는 글로벌 금융위기에 대응하려고 수출과 제조업 중심의 성장 정책을 펴면서 서비스산업 기여율은 35.1%로 급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