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다culture교육정책의현황과과제(problem)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4 13:31
본문
Download : 우리나라다문화교육정책의현황과과제.hwp
(3) 백인우월주의의 경제발전 중심의 교육보다 다인종· 다文化(문화) 공동체 사회를 위한 인
권평화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개화기 이후 단일민족 우위의 자민족 중심주의와 민족주의적 성향을 가져
왔다.
(5) 다文化(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교육지원과 함께 일반교사와 학생, 그리고 일반시민(Citizen)들의 인
식변화를 위한 교육을 병행해야 한다.
2. 다文化(문화)교육 정책의 課題와 앞으로의 방향
우리 사회가 다인종 · 다文化(문화)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다文化(문화)시대에 대비하는 교육개혁 방
향과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우리나라다culture교육정책의현황과과제(problem)
우리나라다문화교육정책의현황과과제우리나라다문화교육정책의현황과과제 , 우리나라다문화교육정책의현황과과제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순서
우리나라다culture교육정책의현황과과제(problem)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우리나라다culture교육정책의현황과과제(problem)
Download : 우리나라다문화교육정책의현황과과제.hwp( 65 )
우리나라 다文化(문화)교육 정책의 現況(현황) 과 課題
* 우리나라 다文化(문화)교육 정책의 現況(현황) 과 課題
1. 한국 사회의 다文化(문화)교육 정책 現況(현황)
우리 사회의 인종적 · 文化(문화)적 다양성이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최근 政府(정부)에서도 다文化(문화)사
회를 대비하여 관련 법령과 제도를 정비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따 가족 구성원에 대
한 국적 다양성을 인정하도록 하는 국적법 개정(1997), 계한외국인처우기본법 제정(2007),
다文化(문화)가족지원법 제정(2008) 등은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따
구체적으로 다文化(문화)교육 정책 現況(현황) 을 살펴보면, 2006년 교육인적자원부가 `다文化(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대책`을 수립하면서, 국제결혼 가정 자녀와 외국인 근로자 가정의(定義) 자녀교
육을 위한 교육 지원이 본격화되었다.
(2) 文化(문화)일원론적 관점(동화주의, 文化(문화)실조를)에서 文化(문화)다원론적 관점(文化(문화)다원주의, 다문
화주의)으로 바뀌어야 한다.
(4) 경제적 세계화를 위한 교육에서 다양성을 인정하는 文化(문화)적 세계화를 위한 교육으로
패러다임을 변화시켜야 한다.
(1) 배타적 동화교육에서 개방적 다文化(문화)교육으로 전환해야 한다. 또 사회, 도덕 등 관련 교과의 교육과정을 개
편하여 다文化(문화) 이해 등을 강조하고, 교원자격 및 직무연수 시 다文化(문화)이해교육 등을 교양
과목에 최소 2시간 이상 포함하도록 권장하였다(교육인적자원부, 2006. 5.). 한국어교원자
격증(KSL자격증)을 취득하고자 하는 교사들에게는 학비를 지원하고 한국어반 담당교사들
에게 가산점을 주도록 권장하고 있따
2007년 교육인적자원부는 `2007년도 다文化(문화)가정 자녀교육 지원계획`(교육인적자원부,
2007. 5.)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다文化(문화)가정 학생의 주류 文化(문화) adaptation(적응) 에 주로 정책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동화주의적이라는 일부의 비판도 있따
현재 한국의 다文化(문화)교육이 국가와 민족을 기준으로 경계선 밖에 위치한 국제결혼 가족,
혼혈인 혹은 이주노동자의 자녀를 대상으로 이들의 주류 사회로의 adaptation(적응) 교육에 초점을 맞
추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개화기 당시 서구의 기독교 文化(문화)와 서학의 침투에 대해 동학과 천도교가 발현되었
고 일제 식민시기에는 저항민족주의로 역할을 하였…(투비컨티뉴드 )
다. 2009년 현재 전국 시 · 도교육청별 다文化(문화)교육 정책 現況(현황) 을 살
펴보면, 이러한 경향이 조금씩 줄어들고 있는 점이 보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다文化(문화)교육
정책의 대상과 목표(goal)를 다文化(문화)가정의(定義) 한국 文化(문화)adaptation(적응) 에 국한하여 인식하는 시각과 이에 근
거한 정책 목표(goal)와 대상, 내용의 설정이 문제가 되고 있따 이는 우리 사회에서 다文化(문화)교
육의 정책 목표(goal)와 방향, 대상과 내용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차원의 논의가 우선적으로 이
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초 · 중등교육법 개정을 통해 불법체류자 자녀에 대
한 교육 기회가 확대되고, 학교중심의 교육지원사업과 다文化(문화)이해교육의 강화를 위하여
한국어(KSL)반을 방과후 학교에 운영하였다. 앞서 살펴본 우리 사회의 다文化(문화)교육 정책 現況(현황) 에 기
반하여 다文化(문화)교육 정책을 위한 교육개혁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이 지원계획에는 다文化(문화)교육 지원체계를 확립, 추진하여 중앙 및
지역교육청에 다文化(문화)교육 센터를 지정하여 다文化(문화)교육 program 개발과 교사 연수 등을
강화하고, 다文化(문화)교육 지원협의회(교육청, 대학, NGO, 지자체, 기업 등)를 구성하여 교육지
원 공모사업을 심의하고, 우수instance(사례) 발표대회(2007.11.)를 개최하며, 향후 시 · 도교육청
추진사항을 혁신평가에 반영하는 정책 方案이 담겨있따 2008년에는 `다文化(문화)가정 학생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지원방란에 의거, 다文化(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지원을 위해 `다文化(문화)가정 학생 교육 지원方案C09~12)`을 수립, 4대 영역에서 14개
정책課題를 도출하여 다文化(문화)교육 수요에 맞는 정책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따 이에 따
라 교과부 및 시 · 도교육청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다文化(문화)가정 학생 교육 지원에 약
700억 원의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다(전우홍, 2009).
2009년에는 시 · 도교육청 평가지표에 다文化(문화)교육 지원 내용을 반영하고, 초등교원
양성대학에 `다文化(문화)교육 강좌` 개설을 지원하여 예비교사의 다文化(문화) 이해 교육을 지원하
고 있따 다文化(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교육으로는 한국어와 기초학력 향상에 초점을 두고 기
초학력책임지도제, 초중등 예비교사 및 교사, 대학생을 활용한 방과후 멘토링제를 실시하
고 있따
이상 살펴 본 한국 사회의 다文化(문화)교육 정책 목표(goal)는 크게 두 가지로 설정된다 첫째, 다
文化(문화)가정 학생 및 학부모의 교육역량 강화와 둘째, 우리 사회의 다文化(문화) 이해 및 수용성
증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