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3 00:04
본문
Download : 고전_2023796.hwp
1866년 국가제도의 개혁안을 제시한 《묘충록(畝忠錄)》을 저술하였다. 17세 때 숙부 원조(源祚)의 교훈으로 성리학에 전념하였다. 그는 주자(朱子)와 이황(李滉)의 주리론을 중심 사상으로 하고 이일원론(理一元論)을 주장하였다. 1857(철종 8)년 청나라에서 반란이 있다는 소식을 듣고 사대의 예를 철폐하자는 취지의 상소문을 지었으며, 1862년 삼남 전역에 민란이 일어나 조정에서 삼정문란(三政紊亂)의 대책을 묻는 윤음(綸音)이 발표되어 ■■응지대책(應旨對策)■■을 올렸으나 왕의 비답(批答)을 받지는 못하였다.
,사범교육,레포트
고전 작품속의 작가의 생애와 문학사적 의의고전 , 고전사범교육레포트 ,
설명
고전
순서
레포트/사범교육
고전 작품속의 작가의 생애와 문학사적 의의
이진상 [李震相, 1818~1886]
①생애
이진상은 원호(源祜)의 아들로 성주(星州)사람이다. 일찍부터 과거에 뜻을 두었으며 15,6세 때부터 대과책문(大科策文)을 짓기 스타트하여 우수한 책문가로 알려졌다. 아버지 원호(源祜)에게 8세 때 《통감절요(通鑑節要)》를 배우고 13세에는 사서삼경(四書三經)을 다 읽었다. 1871년 대원군(大院君)의 서원철폐령에 대해 반대운동을 벌였고, 1876년 운요호사건[雲揚號事件] 소식을 듣고 의병을 일으키려 하였다가 화의 성립으로 중단하였다. 1880년 김홍집(金弘集)이 Japan에서 《조선책략(朝鮮策略)》을 가져오자 척사의 뜻으로 글을 지어 고을에 돌렸다.
②작품개관 및 특징
문집으로 《한주집(寒洲集)》이 있고 그 밖의 저서로 《이학종요(理學綜要)》(22편 10책) 《事例(사례)집요(四禮輯要)》 《춘추집전(春秋集傳)》 《직자심결(直字心訣)》 등이 있다 <이학종요>은 성리학의 요지를 모아 엮은 책으로 일반적으로 이기(理氣) 및 그 상호관계, 천명과 인간의 본연지성, 심·성·정, 존심양성(存心養性)과 궁리치지(窮理致知), 오륜(五倫) 및 수기(修己)에 관한 사항, 의식·거처·수업·예절 등에 관한…(skip)






Download : 고전_2023796.hwp( 63 )
고전
다. 경사(經史)·정무(政務)·문장(文章)·제도(制度)를 비롯 성력(星曆)·산수(算數)·의방(醫方)·복서(卜筮)에 이르기까지 모두 섭렵하려 하였다. 또 천주교의 전파를 서양과 통상함을 우려, 《대학》·《심경(心經)》을 자주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