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귀족제사회설에 대한 논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2 18:56
본문
Download : 고려 귀족제사회설에 대한 논의.hwp
따라서 그는 귀족사회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고려사회의 성격을 귀족사회로 보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귀족사회론에 대한 본격적인 비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1977년에 발표된 박창희의 두 번째 논문이었다. 그는 1937년 『조선봉건사회 경제사 上』에서 사회·경제사적인 입장으로 고려시대를 전형적인 아시아적 봉건사회로 파악하였다. . 처음 반론은 제기한 것은 박창희로서 공음전(功蔭田)이 오품(五品)이상의 관인에게 주어지는 특혜였다는 설을 부인하는 한편, 고려사회는 과거(科擧)관료가 주도하는 관료제(官僚制)사회였다고 주장함으로써 학계에 큰 파문을 던졌다.
고려사회를 귀족사회로 보는 견해는, 대체로 일제시대부터 지금까지 통설로 자리잡고 있다 음서제와 공음전을 지배층의 특권을 유지하기위한 제도로 생각하고 이를 바탕으로 귀족제 사회를 주장한 것이다.
처음으로 고려사회를 귀족제사회로 파악한 것은 안확이었다. 하지만 이 이후에 귀족제 사회론에 대한 논의가 중…(To be continued )
Download : 고려 귀족제사회설에 대한 논의.hwp( 52 )
순서
고려 귀족제사회설에 대한 논의
설명
고려귀족제사회설에대한논의1
,사범교육,레포트
레포트/사범교육
다. 하지만 이후 본격적인 귀족사회에 대한 논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평가되고 있다
이후 고려사회에 대한 전반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시도한 사람은 백남운이다. 그는 1923년 『조선정치사』에서 “고려조가 수립한 이후로는 주권이 귀족에게 재(再)하여 일반 정무가 귀족에 관할에 재(在)하였으니, 고로 근고사(近古史)는 순전한 귀족의 무대를 작(作)하여 난이니라” 라고 하여 고려의 지배층을 귀족으로 지칭하면서, 그 시기를 근고귀족정치시대로 규정하였다.
고려 귀족제사회설에 대한 논의






고려 귀족제사회설에 대한 논의고려귀족제사회설에대한논의1 , 고려 귀족제사회설에 대한 논의사범교육레포트 ,
들어가는 말
본론
1. 음서제(蔭敍制) · 과거제(科擧制)
1) 음서제(蔭敍制)
2) 과거제(科擧制)
2. 고려사회가 귀족제사회라는 opinion(의견)
1)귀족의 槪念
2) 귀족제 사회론의 논거
3. 고려사회가 관료제사회라는 opinion(의견)
1) 귀족의 槪念
2) 관료제 사회론의 논거
나오는 말
고려 사회를 어떻게 보야야 할 것인가?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고려 전기의 사회를 명확히 이해하는 방법 중 하나일 것이다. 그는 고려사회 지배층을 크게 왕족과 귀족군(群) 및 무가(武家)로 나누고 귀족군에 척신(戚臣)과 훈신(勳臣) 및 문무고관등을 포함시킴으로써 귀족층 범주 설정에 하나의 전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귀족사회론은 현행 고등학교 교과서에서도 쓰여지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귀족사회론에 대한 비판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닐것이다.